본문 바로가기

치주학13

치주질환 위험요인 치주질환은 국소 인자인 치석 및 치태와 호르몬 결핍, 혈액 질환과 같은 전신질환 이외에 식이와 영양, 환자의 연령, 지리적 위치, 교육 정도, 인종, 구강위생 정도, 사회 환경, 성별, 경제적 수준 등이 치주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주고, 당뇨와 흡연이 치주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라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치석과 치태는 치주조직 소실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치주질환의 경중도를 평가하는 데 세균성 치태만으로는 결정할 수 없고, 면역반응, 개인의 숙주 반응, 전신적 상황이 중요하다. 즉 숙주 반응과 치태와의 특이관계가 깨지면 치주질환이 발현되고, 연령 등의 변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질병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여러 역학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주요 요인을 찾았다. 1. 연령.. 2024. 2. 4.
구강환경지수 및 CPITN 1. 간이 구강위생지수(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OHI-S; Greene과 Vermillion, 1964) 간이 구강위생지수는 간이 치석 지수와 간이 잔사지수를 더한 것으로, 검사 대상 치아는 상악 좌·우측 제1대구지 협면, 상악 우측 중절치 순면, 하악 좌·우측 제1대구치 설면,하악 좌측 중절치 순면이다. 간이 치석 지수는 6면의 치석 점수를 더한 후 치아 수 6으로 나누고, 간이 잔사지수도 6면의 잔사 점수를 더하여 치아 수 6으로 나눈다. * 평가 기준 0=착색물 또는 잔사 없음 1=외인성 색소 침착이 있고 부드러운 잔사가 치아 면의 1/3 이하를 덮고 있는 경우 2=치아면의 1/3 이상, 2/3 이하의 부드러운 잔사를 덮고 있는 경우 3=치아 면의 2/3 이상의 부드.. 2024. 2. 4.
치은염증 평가 지수 1. 유두변연부착치은지수(Papillary Marginal Attached Gingival Index: PMA Index; Schour와 Massler, 1948) 1948년 Massler와 Schour에 의해 발표된 지표로 치은염으로 분류되는 치은 단위 수를 계산한다. A는 부착치은염(attached gingivitis), M은 변연치은염(marginal gingivitis), P는 유두치은염(papillary gingivitis), 을 나타내고, 6개 전치 순면 치은염에만 상용된 지수지만 집단에서 측정할 경우에는 구치부를 포함하기도 하였다. 하악 및 상악 전치부 5개의 치간유두를 중심으로 10개의 단위 치은으로 보고 각각 부착치은, 변연치은, 유두치은의 세 부위로 분류하여 현존하는 치은염의 부위 수를.. 2024. 2. 4.
치조골(Alveolar Bone) 치조골은 신체의 다른 부위 골과 유사하며, 상악체와 하악체로부터 연장된 골로써 치근을 감싸고 치아를 지탱하며 치아의 물리적인 압력을 분산 흡수한다. 치조골은 치아의 맹출과 함께 생성되며, 치아가 상실되면 서서히 없어져 치조돌기 (alveolar proces)라고 한다. 골의 배열은 치근의 근접도, 접촉점의 위치, 치근 순설면의 형태에 따라 모양이 다르며 불안정한 상태이고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단단하다. 1. 구성성분 치조골의 구성 성분은 세포 간질과 세포 성분으로 구성된다. 1) 세포성분 골세포는 대사물질을 교환하고 영양을 공급한다. 조골세포는 골의 석회화를 돕고, 골을 새로 형성하며, 파골세포는 골 흡수에 관여한다. 2) 세포간질 유기물질은 교원섬유와 지질 성분, 소량의 당단백으로 구성되어 30~35%를.. 2024.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