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주학

치은(Gingiva) ①

by 새얀2 2024. 1. 27.
반응형

치은은 치주조직 중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부위로 모양에 따라 부착치은(attached gingiva), 변연치은(marginal gingiva), 치간유두(interdental papillae)로 구성되어 있다. 구강점막(oral mucosa)은 특수 점막(specialized mucosa), 저작 점막(masticatory mucosa), 피개점막(lining mucosa)으로 구분되는데, 치은은 치경부와 치조골을 감싸고 있는 저작 점막의 일부이다.

1. 치은의 육안적 분류
1) 변연치은(Marginal gingiva)
부채꼴 모양을 가진 변연치은은 치아를 둘러싸며 치관 방향으로 대략 1.5mm 연장되어 치은의 옷깃(collar) 형태를 가지고 있다. 실제 치아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부착치은(unattached gingiva) 또는 유리치은(free gingiva)으로도 불린다.
폭은 대략 1mm 정도의 유리치은구(free gingival groove)와 부착치은(attached gingiva)를 구분한다. 유리치은구는 치아별로 상이하고 약 24~43% 정도 존재하며, 하악 소구치와 전치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구치부 설면과 협면 위 유리치은은 치아면으로 칼날(knife-edge)같은 형태는 거의 없고 치관부 경계는 둥글다. 치은열구(gingival sulcus)는 유리치은과 치아 사이에 "V"자 형태의 좁은 계곡 같은 골짜기가 존재하며, 1~3mm 이내를 정상적인 깊이로 판단한다. 치은열구 내부에는 치은열구액(gingival sulcular fluid)이 분비된다. 열구액 또는 치은액이라고도 하고 치은열구의 하부 결합조직의 삼출액이다. 액량은 건강한 상태에서는 치은열구액은 거의 없으나 치은염증이 있거나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분비량이 증가하며 염증 평가를 위한 연구에 사용된다.

치은열구액 기능
a. 치은열구 내 자정작용
b. 항균 작용
c. 항체 함유로 면역기능 보유
d. 접합 상피(junctional epithelium) 치아 부착(혈청 단백질 보유)
e.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 제공

2) 치간유두(Interdental papillae)
치간치은(interdental gingiva)이라고도 불리는 치간유두는 치아 및 치아 사이의 삼각형 공간의 치은이다. 치간유두는 두 개의 유두(협설측으로 각각 하나씩 존재)와 col(유두를 연결하는 계곡 모양)로 이루어져 있다. 인접 치아를 상실했거나 치아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col이나 치간유두 없이 치조골이 평평하게 덮고 있다. Col은 비각화 상태이므로 세균 감염 등 염증이 쉽게 발생한다.

3) 부착치은( Attached gingiva)
견고하고 탄력성이 있어 치조골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치은치조점막경계부(mucogingival junction)를 경계선으로 하여 치조점막(alveolar mucosa)과 구분된다.
부착치은 및 치간유두 중앙 부위에는 결합조직이 상피 내부로 돌출되어 오렌지 껍질처럼 올록볼록한 점몰(stippling)이 나타나는데 이는 연령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5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성인기에는 증가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낮아진다. 염증이 있는 경우 소실되는 경향이 있으나 건강한 치은은 점몰이 없을 수도 있다. 부착치은 폭은 같은 구강 내 또는 개인 치아마다 다르다. 근육 부착 및 치아 위치에 따라 치아 소대에 의해 좌우된다. 구치부에서 좁고, 전치부에서 가장 넓다(상악: 3.5~4.5mm, 하악: 3.3~3.9mm). 제1소구치에서 가장 좁지만(상악: 1.9mm, 하악: 1.8mm), 영역에 따라 1~9mm까지 다양하지만 치근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넓이의 부착치은이 필요하다.

4) 치조점막(Alveolar mucosa)
치은치조점막경계부(mucogingival junction)의 치아뿌리 부분에서 비각화 상피로 감싸져 있으며, 골막에 미부착된 유동성 조직으로써 부착치은과 비교 시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2. 치은의 기능
결합조직의 치은섬유군과 상피조직 세포에 의하여 치아를 지탱하며, 저작압 흡수 및 세균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 작용을 한다. 치은섬유는 변연치은을 치아에 단단히 부착하게 하며, 저작압에 대해 치아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변연치은을 부착치은과 백악질에 연결해 준다.

3. 치아-치은 접합부위(Dento-gingival junction area)
치은결합조직과 접합 상피가 부착하는 부위로 골조직 하부를 보호한다. 생물학적 폭경(biologic width)은 치주와 보철 영역의 복합 치료를 수행할 때 의료진들이 확보해야 하는 부위이다. 접합 상피가 결합조직이 치근에 부착하는 폭(1.07mm)과 치아에 부착하는 폭(0.97mm)을 의미하는 것으로. 치아우식증이나 치아파절 등의 치아 손상 부위가 있어 치근 부위로 연장된 경우 이 폭경을 확보해 주면 건강한 잇몸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의료진이 이 폭경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치조골이 흡수되어 생물학적 폭경이 변동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반응형

'치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조골(Alveolar Bone)  (0) 2024.02.02
백악질(Cementum)  (0) 2024.01.27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1) 2024.01.27
치은(Gingiva) ②  (0) 2024.01.27
치주학의 발달사  (0) 2024.01.24